국악을 음악시간에 공부하게 해주세요.

열림님의 문제 제기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 축소 청원문

우리의 소리, 국악을 음악 시간에 공부하게 해주세요!


현재 교육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은 올해 말에 확정과 고시 될 예정입니다.

공개된 음악과 개정 시안에는 국악 교육을 필수학습내용에서 삭제하고, 교육 부연 설명에 가까운 성취기준 해설에 포괄적으로 언급합니다. 이에 따라 개정 교육과정이 사용되는 2025년부터 음악 과목 내의 국악 교육이 대폭 축소될지도 모릅니다.

교육과정 문서는 내용 체계에 포함된 요소가 학년에서 배워야 할 필수학습내용이라고 정의합니다. 하지만 성취기준 해설은 성취기준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특별히 강조되어야 할 기준이 아니라고 명시합니다.

기존의 2015 음악과 교육과정에는 내용 체계에 ‘생활 속의 국악’, ‘국악과 문화유산’, ‘세계 속의 국악’ 등 국악을 필수로 배워야 할 분야로 구성하였으며,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해설에 모두 국악 교육의 지침에 관해 설명했습니다:

▶초등학교 3~4학년 내용 체계,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해설
“…생활 속의 국악을 통해 우리음악을 애호하는 마음과 태도를 기른다.”
[성취기준 4음03-03] 생활 속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악을 찾아 발표한다
[성취기준 해설 4음03-03] 국악곡이 노동, 의식, 놀이 등 오늘날 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찾아 발표하도록 한다.

▶초등학교 5~6학년 내용 체계,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해설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에 대한 탐색을 통해 우리 음악 문화를 애호하는 마음과 태도를 기른다.”
[성취기준 6음03-03] 우리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발표한다.
[성취기준 해설 6음03-03]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국악 관련 문화재를 찾아 발표하도록 한다.

▶중학교 1~3학년 내용 체계,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해설
“…세계 속의 국악의 위상을 알고 우리음악에 대한 자긍심과 애호심을 기른다.”
[성취기준 9음03-03] 세계 속의 국악의 위상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한다.
[성취기준 해설 9음03-03]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악에 대해 조사하고 세계 속의 국악의 위상에 대해 토의하여 발표하도록 한다.

하지만 최근 공개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시안에는 다음과 같이 국악(음악문화유산)이 언급됩니다:

▶초등학교 5~6학년 성취기준 해설
[성취기준 해설 6음01-01] “…국악을 비롯한 다양한 노래와 악기 연주를 위한 바른 자세, 주법, 표현 기법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성취기준 해설 6음03-03] “…지역에 전승되어오는 음악문화유산을 통해 자신이 속한 지역에 대해 이해하는 등,…”

▶중학교 1~3학년 성취기준 해설
[성취기준 해설 9음01-01] “…국악 등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다양한 시대․문화권의 노래나 악기로 하되,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면서도 흥미로운 것으로 구성한다.”
[성취기준 해설 9음03-02]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시대와 문화권에 따른 음악의 전반적 구성과 특징을 이해하고, 시대별․문화권별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국악의 독창성 등을 설명해 보도록 한다.”
[성취기준 해설 9음03-03] “…국악을 비롯한 다양한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존중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도록 한다.…”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에서 국악을 삭제했으며, 필수가 아닌 성취기준 해설에 국악 교육을 통합시켰습니다.
또한, ‘국악을 비롯한’, ‘국악 등’과 같은 포괄적인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교육부는 이 개정이 실생활 기반 교육을 위해 국악이 포함되었던 기존의 ‘생활과’ 영역을 폐지하고 전체에 적용한 결과라고 답변했습니다. 또한, 다양한 음악 유형을 자유롭게 즐기고 ‘국악 대 음악’으로 오해되지 않기 위함을 이유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기존 ‘생활과’의 성취기준을 전부 삭제하고 성취기준 해설에 간단히만 병합시키는 것, 그리고 다른 음악 종류와 함께 포괄적으로 명시하는 것은 국악 교육의 비중이 축소되는 결과를 충분히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학생들에게 국악을 가르치는 것은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문화예술을 후세에도 지켜나가는 활동입니다. 또한, 한국 전통음악의 가치를 배운 학생들은 다른 나라의 고유 음악도 더욱더 존중해나갈 수 있는 글로벌 인재로 자라날 것입니다.

청원에 참여하여 우리의 소리, 국악을 음악 시간에 계속 배울 수 있도록 해주세요!
열림님의 정책제안
?명이 공감하고 있어요!

공감버튼 누르고 몇명이 공감했는지 확인해보세요!